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델린 에샬트

덤프버전 :


파일:리제로 한국 로고.png
등장인물 목록
[ 펼치기 · 접기 ]

친룡왕국 루그니카
에밀리아 진영나츠키 스바루 · 에밀리아 · · · · 로즈월 L. 메이더스 · 베아트리스 · 오토 스웬 · 페트라 레이테 · 메일리 포트루트 · 파트라슈 · 가필 틴젤 · 프레데리카 바우먼 · 류즈 빌마 · 류즈 알마 · 류즈 델마 · 안네로제 밀로드 · 클린드
펠트 진영펠트 · 라인하르트 반 아스트레아 · 발가 크롬웰 · 가스통 · 라친스 호프만 · 캠벌리
크루쉬 진영크루쉬 칼스텐 · 펠릭스 아가일 · 빌헬름 트리아스
프리실라 진영프리실라 바리에르 · 알데바란 · 하인켈 아스트레아
아나스타시아 진영아나스타시아 호신 · 율리우스 유클리우스 · 요슈아 유클리우스 · 리카드 웰 킨 · 미미 펄배튼 · 헤타로 펄배튼 · 티비 펄배튼
아인전쟁테레시아 반 아스트레아 · 보르도 체르게프 · 그림 파우젠 · 피보트 애넌시 · 캐럴 레멘디스 · 토르타 위즐리 · 로즈월 J. 메이더스
기타카도몬 리쉬 · 플럼 리쉬 · 빈 아가일 · 러셀 펠로 · 푸리에 루그니카 · 파르세일 루그니카 · 마이크로토프 맥마흔 · 보르도 체르게프 · 마코스 길다크
신성 볼라키아 제국
수도 루프가나빈센트 볼라키아 · 스트라이드 볼라키아 · 프리스카 베네딕트 · 벨스테츠 폰달폰
구신장세실스 세그문트 · 아라키아 · 오르바르트 덩클켄 · 치샤 골드 · 요르나 미시구레 · 고즈 랄폰 · 그루비 검렛 · 모그로 하가네 · 마델린 에샬트
전 구신장발로이 테메글리프
기타쿠르강 · 네이지 록하트 · 토드 팽 · 플롭 오코넬
마녀교
대죄주교페텔기우스 로마네콩티 · 레굴루스 코르니아스 · 라이 바텐카이토스 · 로이 알파르드 · 루이 아르네브 · 카펠라 에메라다 루그니카 · 시리우스 로마네콩티 · 오만의 대죄주교
기타쥬스 · 허식의 마녀 판도라 · 케티
400년 전
마녀질투의 마녀 사테라 · 탐욕의 마녀 에키드나 · 분노의 마녀 미네르바 · 폭식의 마녀 다프네 · 오만의 마녀 튀폰 · 나태의 마녀 세크메트 · 색욕의 마녀 카밀라 · 우울의 마인 헥토르
삼영걸초대 검성 아스트레아신룡 볼카니카현자 플뤼겔, 현자 샤울라
기타황무지의 호신 · 류즈 메이엘 · 로즈월 A. 메이더스
기타 등장인물
지구나츠키 켄이치 · 나츠키 나호코
엘리오르 대삼림포르투나 · 아치 · · 메라퀘라
카라라기 도시국가나츠키 리겔 · 나츠키 스피카 · 할리벨 · 절레스티아 · 도르켈 · 키리타카 뮤즈 · 릴리아나 마스카레이드
구스테코 성왕국엘자 그란힐테 · 베리 하이넬가
기타스핑크스 · 리브레 페르미 · 류즈 시마 · 오메가



[[신성 볼라키아 제국#s-2.1.1|

볼라키아 제국 구신장
]]
[ 펼치기 · 접기 ]


볼라키아 제국 쿠데타 세력
[ 펼치기 · 접기 ]

황제 휘하 반란군
볼라키아 제국 황제
아벨
볼라키아 제국에밀리아 진영프리실라 진영
구신장 7 『극채색』
요르나 미시구레
나츠키 스바루태양희
프리실라 바리에르
행상인
플롭/미디엄 오코넬
떠돌이 용병
알데바란
제국군 「호색한」
지크르 오스만
폭식의 대죄주교
루이 아르네브
루그니카 기사단 부단장
하인켈 아스트레아
슈드라크의 민족슐트
검고노도 기눈하이브
정규군
가짜 황제
빈센트
구신장 2 『정령포식자』
아라키아
구신장 3 『악랄옹』
오르바르트 덩클켄
구신장 8 『강철인』
모그로 하가네
구신장 9 『비룡장』
마델린 에샬트
재상
벨스테츠 폰달폰
별점쟁이
우비르크
제국군
토드 팽
이장
카프마 일룩스



마델린 에샬트
マデリン・エッシャルト | Madelyn Eschart
파일:마델린.jpg
본편 29권 표지
종족용인
이명비룡장
성별여성
가족발로이 테메글리프(연인)
국적신성 볼라키아 제국
소속볼라키아 제국군 — 일장(구신장 『9』
볼라키아 제국 내전(쿠데타 — 정규군

1. 개요
2. 설정화
3. 상세
4. 작중 행적
4.1. 7장
4.2. 8장
5. 기타




1. 개요[편집]


웹소설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의 등장인물. 본편의 첫 등장은 7장.


2. 설정화[편집]


파일:마델린 에샬트.png
원작 설정화


3. 상세[편집]


볼라키아 제국 구신장의 『9』에 해당하는 장군. 이명은 비룡장. 먼 옛날 멸종된 종족으로 알려진 용인이다. 용을 이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종족으로 취급하며, 어린 슐트마저 아무렇지 않게 죽이려 들 정도로 대단히 흉폭하고 냉혈하다.


4. 작중 행적[편집]



4.1. 7장[편집]


7장에서 스바루 일행이 떠난 후, 프리실라와 렘이 거점으로 삼고있는 성곽 도시 과랄을 침공하면서 등장한다.

플롭과 슐트, 우타카타, 하인켈을 막아서며 대치하게 되는데 하인켈을 제외하고 용인 앞에서 용감하게 대치하는 셋의 모습을 보며 전사라고 칭한다. 그러나 혼자 벌벌 떨며 겁먹은 하인켈을 보고 저런 녀석한테 비룡이 죽임을 당했다는 것에 대해 실망하며 하인켈을 무참히 두들겨 팬다. 최후의 일격을 날렸으나, 슐트가 가로막아 죽이는데는 실패.

그 후 프리실라가 등장하며 일행들을 지켜주게 되고 일행이 떠나면서 마델린은 프리실라와 전투를 시작한다. 처음엔 서로 비등했으나 용인의 탁월한 신체능력과 학습능력으로 점점 프리실라가 열세에 몰리게 된다. 그러나 에밀리아가 등장하여 2대 1 전투를 벌이게 되었고, 둘의 합에 밀리던 마델린은 「메조레이아」라는 궁극기를 사용하여 주변 일대를 전부 날려버린다.

그 여파로 마델린 자신까지 쓰러지지만 렘이 마델린을 다친 시민으로 착각하고 등에 업어 청사로 돌아오다가 정신을 차린 마델린이 렘을 죽일려고 손톱을 세운 찰나, 렘 대신 달려든 플롭에게 중상을 입힌다. 중상을 입고 쓰러진 플롭이 용족의 송곳니가 달린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는것을 보고, 흥분한채로 목을 잡으며 어떻게 그 이빨을 가지고 있는거냐며 캐묻지만 이대로 두면 죽는다는 렘의 절규에 대답을 들어야하니 살려두라고 플롭을 넘긴다. 하지만 그 동안에도 나머지 비룡들은 과랄을 계속해서 파괴하고 있었고, 렘은 플롭의 치료를 대가[1]로 마델린에게 과랄 침공을 멈출것을 요구한다. 용인을 업신여기는 태도에 렘의 목을 조르나, 겁먹기는 커녕 자신을 죽여도 당신의 패배라는 렘의 한마디에 결국 침공을 중단하고, 렘과 플롭을 데리고 철수한다.

제도 결전에서는 2 정점을 맡아 에밀리아와 대치한다. 다시 한 번 메조레이아를 소환해 에밀리아를 몰아붙이나, 세실스가 전장에 참전하면서 전세가 역전된다. 연인이었던 발로이 테메글리프가 시체병으로 부활해 모습을 드러내자 급히 수정궁으로 달려간다.


4.2. 8장[편집]



5. 기타[편집]


  • 겉으로는 드러내지 않지만 자존심이 매우 낮으며, 스스로를 동족의 수치로 여긴다.
  • 외견에 걸맞게 실제로도 어린아이다.

[1] 치료하지 않으면 플롭은 사망할테고, 마델린의 질문에 대한 답을 해줄 수 없게 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9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14:38:40에 나무위키 마델린 에샬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